한식조리기능사 정보와 취득방법부터 팁까지 알아보겠습니다.
한식조리기능사란?
한식조리기능사 자격증은 전문조리사가 되기 위한 첫 걸음으로, 누구나 응시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조리 실력 뿐만 아니라 조리시설과 기구의 위생관리, 재료의 구입, 영양학, 관련 법규 등을 평가합니다. 한식조리산업기사와 조리기능장이 상위 자격증으로, 국군 장병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응시하는 시험이며, 상시 시험 종목으로 1년에 여러 번 응시할 수 있습니다. 필기는 매주, 실기는 격주로 원서접수를 받으며, 지역 상관없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취득방법
필기
조리기능사 필기시험은 1시간 동안 4지선다형 60문제를 풀어야 하며, 60점 이상(36문제)을 획득하면 합격입니다. 필기 합격은 2년간 유효하며, 과목은 공중보건, 식품위생, 식품학, 조리이론과 원가계산, 식품위생법규로 구성됩니다. 특히 식품학과 영양소가 어려운 과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험 출제방식이 문제은행식이었으나 2020년 이후 문제 출제방식이 변경되면서 난이도가 상승했습니다. 이론 공부와 기출문제 풀이가 중요하며, 2~3주 정도의 집중적인 공부로도 합격 가능합니다.
2020년 변경 내역은 식품위생 및 관련법규, 식품학, 조리이론 및 급식관리, 공중보건에서 한식 재료관리, 음식조리 및 위생관리가 추가되었습니다.
실기
실기시험에서는 31가지 한국 요리 중에서 2개 메뉴가 랜덤으로 출제됩니다. 주어진 재료로 2가지 요리를 만들어야 하며,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시험 시간은 총 45~70분이며, 무, 오이, 황백지단 등의 채소를 특정 방식으로 썰거나 처리하는 과제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시험규정상 맛보다 외관을 중요시하지만 요리 과정이나 위생 등을 보다 중점적으로 평가합니다. 점수를 매기는 감독관은 일반적으로는 맛을 보지 않지만, 종종 먹어보기도 합니다. 설거지는 점수에 들어가지 않지만, 위생 상태에 따라 감점될 수 있습니다. 만점은 100점이며,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시험의 까다로운 평가 기준으로 인해 합격률이 30% 안팎으로 낮게 나타나며, 높은 요리 기술과 31가지 요리 과정에 대한 충분한 암기력이 필요합니다. 실기시험은 다음 33가지 중 출제됩니다.
재료썰기 (25분) 콩나물밥 (30분) 비빔밥 (50분) 장국죽 (30분) 완자탕 (30분) 두부젓국찌개 (20분) 생선찌개 (30분) 두부조림 (25분) 홍합초 (20분) 오징어볶음 (30분) 생선전 (25분) 육원전 (20분) 표고전 (20분) 풋고추전 (25분) 지짐누름적 (35분) 화양적 (35분) 섭산적 (30분) |
너비아니구이 (25분) 제육구이 (30분) 북어구이 (20분) 생선양념구이 (30분) 더덕구이 (30분) 무생채 (15분) 도라지생채 (15분) 더덕생채 (20분) 겨자채 (35분) 잡채 (35분) 탕평채 (35분) 칠절판 (40분) 육회 (20분) 미나리강회 (35분) 오이소박이 (20분) 배추김치 (35분) |
50대 이상의 재취업 자격증으로도 인기가 좋습니다. 보통 필기는 독학으로 준비하고 실기는 학원에 다니지만, 지역 주민센터나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수강할 수 있습니다. 요리에 자신 있는 분들은 유튜브를 통해 실기도 독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격증 취득 팁
계란 지단이 들어가기 때문에 연습하는 동안 계란이 많이 필요합니다. 흰자를 얇게 부칠 때 난이도가 높습니다.
기름기나 힘줄이 있는 소고기는 가열 조리할 때 쉽게 뒤틀리거나 길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마블링이 들어간 소고기를 사용하면 규격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육점에서 기름기가 없는 부위를 선택하거나 육회용 고기를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고기의 가격이 부담스러우면 장조림용 돼지고기를 사용해도 됩니다. 다만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질감이 다르므로 한두 번은 소고기로 연습해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조리복, 조리모, 앞치마, 행주, 면보는 모두 흰색이어야 하며, 다른 색깔이면 실격됩니다. 또한, 기관이나 단체의 표식이 들어가 있으면 안 됩니다.
지금까지 한식조리사자격증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조무사 자격증 따려면? 취득방법과 응시자격 알아보기 (0) | 2024.04.05 |
---|---|
도배기능사 (도배사) 자격증 취득방법과 응시조건 (0) | 2024.04.05 |
전기기능사 취득방법과 응시자격 시험일정 확인하기 (0) | 2024.04.04 |
아이돌보미 국가자격증 취득방법과 취득조건 (0) | 2024.04.03 |
정리수납전문가 자격증 정보와 취득방법은? (0) | 2024.04.03 |